
청약통장은 아파트 청약때문에 해지도 못하고 계속 묶혀두는 통장이다. 그런데 청약통장을 담보로 낮은 대출을 받고, 요즘 기준금리가 3%로 오르면서 저축은행에 예금이 5%가 넘는 상황이 발생되서 그 차이만큼 수익을 내는것이 가능하다. 청약통장담보대출? 청약통장이 있는곳은 제 1금융권이고, 대출을 받더라도 상대적으로 이자가 낮다. 거기에 청약통장을 담보로 하고 있으니 청약통장금 금액정도 수준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실제로 내가 국민은행에 청약통장이 있는데 납입금액이 2425만원이 있는데 대출가능금액은 2303 만원수준까지 대출이 가능했고, 신잔액 COFIX 12개월 기준 3.08% 까지 가능했다. 대출받아서 예금을? 실제로 내 청약통장으로 2300만원을 3.08% 대출금리로 대출을 실행했고, 5.x% 대의 예금..
우선 북위례가 위치나 가격이 좋은건 알겠고 청약을 넣어야겠다는것 까지는 수긍되었는데, 상반기 분양예정인 단지가 5개가 있다. 아!!! 위례포레자이는 청약이 끝났으니 이제 주요 단지가 4개라고 봐야하나? 어떤 단지가 좋은지는 내가 순위별로 이유를 정리했다. 사족으로 거주지와 분양 지역구(송파/하남)에 따라 배정비율이 달라지는데 추첨물량은 운빨이라 일단 닥치고 모든 지역에 넣는게 정답이다. (송파분양물량은 서울1년이상거주자 50% / 하남분양물량은 하남 1년거주자 30% 배정이라 지역별로 유리한 케이스가 있긴하다)1위. 계룡리슈빌(A1-6) - 송파+위치환상일단 계룡리슈빌은 모든걸 갖춘위치인듯 하다. 우선 위치가 너무 x 2 좋다. 장지천과 공원녹지가 아래 존재하여 자연경관이 좋고, 위례트램이 민자적합성 면..
이자를 쫓아 다니는 메뚜기족이라 높은 금리를 찾아 다닌다. 예금자 보호는 은행마다 5천만원만 보호되다보니 은행별로 통장을 쪼개는게 좋은데, 그래서 은행별 최고금리 찾기는 필수다. 원래는 모네타의 최고금리 메뉴를 이용했는데, 더 좋은곳을 찾았다. 등잔밑이 어둡다더니 금융감독원에서 금융상품 통합비교공시 홈페이지를 운영중이었다. 보통 금리는 저축은행이 높은데 지점이 많지 않아서 발품을 팔아야했는데요즘은 세상이 좋아져서 직접 방문없이 "비대면계좌" 를 만들수 있다. (세상좋아졌다. 하지만 인터넷으로 만들때 종종 잘 안되서 짜증이 몰려올때도 있긴하다) 금융상품한눈에 ?!생각보다 공공기관은 열심히 일하고 있었다 !!! (국세청만 열심히 일하는줄)금융감독원에서 "금융상품한눈에" 라는 서비스를 하고 있었다.적금/예금뿐..
얼마전, 증권사에서 채권출고를 하는게 너무 오래걸려서 심심해서 팜플렛(?) 같은걸 사진찍어놓고 읽었다 깜놀했다. 당연히 예금자 보호 대상이라고 생각한 주택청약저축은 예금자 보호대상이 아니라고 적혀있기 때문이다. CD, RP, 채권 같은건 사실 비보호 될거라고 예상했지만 이건 정말 의외였음. 그럼, 청약저축 넣은거 은행 부도나면 다 날려먹는거 아니야? 하고 불안해 할텐데 예금자보호제도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설명이 쉬울것 같다. 예금자 보호제도 ?!생활 법령 정보를 보면 이렇게 정의 되어있다. (링크)금융기관이 영업정지나 파산 등으로 고객의 예금 등을 지급하지 못하게 될 경우 해당 예금자는 물론 전체 금융제도의 안정성도 큰 타격을 입는 등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예금자보호법」을 제정하여 고객들의 예금 등을..
신용카드를 쓰다보면, 전월실적만 채우고 딴카드를 보조로 같이 사용하는것이 더 효율적일때가 많다.내가 메인으로 쓰는건 하나1Q카드고, 보조 카드로 쓰는건 "네이버페이 체크카드"이다. 근데, 최근 네이버페이쪽에서 신용카드랑, 케이뱅크쪽에서 체크카드가 나왔나보다. 그래서 과연 어떤게 더 쓸만한지 눈여겨 봤는데, 결국은 신용카드는 계륵인걸로 판단되고 보조카드로는 체크카드 두개를 같이 갖고 있는데 좋다는 결론이다. 그 이유는 밑에 설명을 읽자. 1. 신한 네이버 페이 신용카드 (계륵카드)# 추가적립 2%는 제한적임적률률상으로는 가장 높은게, 신한카드에서 나온 "네이버페이 신용카드"이다.하지만, 기본 1%적립 말고, 추가 2% 적립 조건을 잘 살펴보자. 읽어보면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등록후 결제시 추가적립이라고 적혀..
1부에서는 랜딧의 특징중 8퍼센트와 비교한 이야기를 했는데, 2부에서는 8퍼센트 기준으로 이야기 하고 간단히 정리를 하려고 한다. 8퍼센트는 작년초에 시작해서 1년넘게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좀더 말해줄 내용이 있다.참고로 1부를 안봤다면 먼저 보고 오자 혹시 8퍼센트를 가입할꺼라면, 아래 링크로 가입하면 서로 2000 포인트를 받으니 참고하자http://8per.kr/s/5Y9BiH/ 2017/09/02 - [P2P채권투자] 랜딧과 8퍼센트 비교 (1부. 랜딧) - 실제 투자자가 알려주는 장단점# 8퍼센트, 부도나면 50%를 보상했었다 - 5/17 이후 사라짐8퍼센트의 최대 장점은 안심보험(?) 제도였다. 투자금의 일부를 보험처럼 이용하고 투자하다가 채권이 부도나버리면 원금의 50%를 보장했었다. (..
1년전쯤 8퍼센트를 하다가 얼마전 랜딧을 가입해서 소액 투자를 시작했다. 개인간 돈이 필요한사람과 굴리고 싶은사람을 연결해서 이자놀이를 통해(?) 수익을 얻는걸, 인터넷 서비스로 매우 쉽게 풀어낸게 8퍼센트나 랜딧이라는 서비스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디를 써야 좋을까? 하는게 항상 고민이다. 그래서 일단 겪어 보자 하고 얼마전 랜딧을 가입했다. 랜딧은 특이한게 추천인 제도가 있어서 가입할때 추천인 코드를 넣으면 몇천원 정도의 포인트를 서로에게 준다. (혹시 필요하다면 내 추천인 코드는 183308 ) 랜딧, 투자 금액만 정하면 되는 심플함# 1. 포트폴리오 구성랜딧이 내세우는 장점이 아닐까 싶다. 채권을 살때 수익률이나 신용등급 기간을 고려해서 일일이 사사야 하는데, 랜딧에서는 금액만 정하면 분산투자를 ..
0. 왜? 예금/적금인가?시드머니(Seed Money)라는것이 있다. 재테크를 하려면 굴릴 돈부터 모아야 한다. 그 기초가되는 굴릴 돈을 시드머니라고 하는데, 사회초년생은 금수저가 아닌이상 모아둔 돈이 없다그래서, 어쩔수 없이 초기에는 시드머니를 모으는 일부터 시작해야한다. 사회 초년생은 돈을 벌기 시작하지만, 돈을 어떻게 굴려야할지 잘 모른다. 그래서 가장 기초가 되고, 원금이 보장되는 예금/적금으로 먼저 시작할 수 밖에 없다. 개인적으로는 주식이나 채권, 대출투자 같은 다양한 투자방법을 경험해보는게 좋다고 생각하는데,돈을 운용하다보면 안전자산에 비중이 없다면 리스크가 있는 재테크를 운용할때 감내할 수 없다.이건 금융위기때도 주식 투자해본 선배로써 하는말이다 ㅋㅋ 주식 반토막 났을때 안전자산이 없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