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차를 출고할 당시 까페에 문의해보니 보험비교 사이트를 써보라고 했고, 그때 가장 싼게 KB 였다. ;; 일단 이번에 연장해서 2년째 KB손해보험을 쓰고 있는데 자차보험 포함해서 2년차에 150만원 언저리가 나왔다. 참고로 가족 + 지정1인 30세이상 보험료 기준이다. 물론 나는 주행이 많지 않다보니 마일리지 할인을 받으면 40만원 정도는 나중에 돌려받는다. 전기차 전용 특약? 가입하고 까페를 뒤져보니 전기차 관련 특약이 KB손해보험이 잘되어있는 편이라는 후기가 있다. 실제로 가입할때 선택지를 보면 "전기차충전중자손보상" , "전기차자동차배터리신품가액" 이라는 특약이 존재한다. 사실 전기차 가격에서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크고, BMW 에서도 배터리 같은경우 8년 보장을 해서 굳이 필요한가? 하..
전기차를 이용하다보면 분명 충전가능하다고 해서 왔는데 차를 안빼고 점유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때 신고하는 방법은 무엇이고 phev 나 충전안하고 점유하는 차량은 신고가 가능한건지 알아보도록 하자. 1. 충전소 자리 점유 신고방법 우선 단순히 카메라로 찍어서 민원을 넣어 신고하는건 안된다. "안전신문고" 라는 앱을 설치하고 1분간격으로 사진 2장을 찍어야 제출해야한다. 조금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안전신문고 앱스토어 다운 / 플레이스토어 다운) 이런 시스템이라 내연차가 충전소 자리를 점유했을때는 사실상 신고가 접수되고, 과태료 10만원이 부과된다. 충전소 자리 못이용하게 이중주차 한 경우도 과태료 10만원이다. 2. PHEV 의 점유 신고 될까? PHEV 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을 의미하며, 우리나라..
전기차 하이패스 등록을 할때 50% 할인을 받기위해서는 도로공사 영업소에 직접 방문해서 등록해야한다는 정보가 많다. 하지만, 이건 반만 맞는 사실이다. 직접 영업소를 찾아가야하는 케이스는 차량 순정 하이패스로 달린 케이스에만 해당된다. 보통 외제차는 딜러가 등록해주고, 테슬라 같은 경우는 딜러가 없이 홈페이지 구매라 셀프 구매후 등록을 하는 상황이라 이런경우는 인터넷에서 등록이 가능하다고 보면된다. 나는 특이하게 BMW iX3 를 구매했지만, 출고날 도로공사 그 홈페이지가 장애가 있어서 등록을 내가 직접 진행한 케이스였다. 딜러가 홈페이지에서 등록가능하다고 안내해줘서 등록했고 실제 50% 할인이 먹는지 명세서까지 확인해본 경험담을 정리했다. 1. 홈페이지에서 하이패스 등록하는 방법 1.1 하이패스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