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살이라도 젊었으때 다양한 자산증식방법을 경험해보자는게 나의 기본철학이다. 그래서 P2P대출투자도 남들보다 일찍시작했었고, 8퍼센트라는 서비스도 2016년 2월 처음 시작했다. 지금 그 경험담을 풀어보고자 한다. 8퍼센트라는 이름 자체가 평균 수익률 8퍼센트 라는 컨셉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근데 진짜일까? 8퍼센트 수익률은 얼마? 2016년 2월부터 투자를 시작했다. 약 3년 5개월 수준을 투자한듯하다. 참고로 투자요약에 수익률은 4.07% 로 나오지만, 이자+원금을 매월 재투자하고, 채권부도가 높아져서 작년부터 재투자안하고 통장에 옮기다보니 수익률이 원금대비로 했을때 많이 다르다. 그래서 실제 수익을 원금대비로 계산하려면 출금이력과 현재 자산을 역산해야한다. #8퍼센트 원금기준으로 다시계산하면? 6%..
은행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다는 장점을 내세워서 요즘 P2P대출을 통한 투자가 꽤 관심을 많이 받고 있다. 그래서 그런가? 요즘 업체들도 참 많다. 랜딧, 8퍼센트, 테라펀딩...그런데, 예금/적금만 하고 있는 사람에겐 너무 당연한거라 놓치는게 있을까봐 적어본다. 간단히 말하면, P2P 투자금액은 크게 잡지 말고 투자금의 10%나 5%정도만 굴려보면 괜찮다는 생각이다. 1. P2P대출투자는 해약이 없다.예금은 내가 급하게 돈이 필요한 경우 이자만 포기하면 언제나 통장 해약을 해서 원금을 회수 할수 있다. 하지만 P2P대출 투자는 해약이 불가능하다. 왜냐고? P2P대출의 계약주체는 돈을 빌리는 사람이다. 즉, 계약의 해지는 대출받는 사람이 할 수 있다. 계약기간보다 일찍 돈을 갚는걸 "조기상환" 이라고 ..
1부에서는 랜딧의 특징중 8퍼센트와 비교한 이야기를 했는데, 2부에서는 8퍼센트 기준으로 이야기 하고 간단히 정리를 하려고 한다. 8퍼센트는 작년초에 시작해서 1년넘게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좀더 말해줄 내용이 있다.참고로 1부를 안봤다면 먼저 보고 오자 혹시 8퍼센트를 가입할꺼라면, 아래 링크로 가입하면 서로 2000 포인트를 받으니 참고하자http://8per.kr/s/5Y9BiH/ 2017/09/02 - [P2P채권투자] 랜딧과 8퍼센트 비교 (1부. 랜딧) - 실제 투자자가 알려주는 장단점# 8퍼센트, 부도나면 50%를 보상했었다 - 5/17 이후 사라짐8퍼센트의 최대 장점은 안심보험(?) 제도였다. 투자금의 일부를 보험처럼 이용하고 투자하다가 채권이 부도나버리면 원금의 50%를 보장했었다. (..
1년전쯤 8퍼센트를 하다가 얼마전 랜딧을 가입해서 소액 투자를 시작했다. 개인간 돈이 필요한사람과 굴리고 싶은사람을 연결해서 이자놀이를 통해(?) 수익을 얻는걸, 인터넷 서비스로 매우 쉽게 풀어낸게 8퍼센트나 랜딧이라는 서비스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디를 써야 좋을까? 하는게 항상 고민이다. 그래서 일단 겪어 보자 하고 얼마전 랜딧을 가입했다. 랜딧은 특이한게 추천인 제도가 있어서 가입할때 추천인 코드를 넣으면 몇천원 정도의 포인트를 서로에게 준다. (혹시 필요하다면 내 추천인 코드는 183308 ) 랜딧, 투자 금액만 정하면 되는 심플함# 1. 포트폴리오 구성랜딧이 내세우는 장점이 아닐까 싶다. 채권을 살때 수익률이나 신용등급 기간을 고려해서 일일이 사사야 하는데, 랜딧에서는 금액만 정하면 분산투자를 ..
작년인가? 랜딧, 8퍼센트라는 p2p대출 서비스가 갑자기 유명해졌다. 참고로 8퍼센트는 이름 자체가 일반적으로 평균 8퍼센트의 이율을 의미한다. p2p대출은 은행이 아닌, 개인 대 개인을 직접 연결해서 돈을 빌려주는 시스템이다. 이런 시스템이 운영될수 있는 이유는 이렇다. 8퍼센트에서는 대출자와 투자자를 연결해주고 수수료를 받아 좋음대출자는 은행대출은 어렵고, 2금융권에 가면 금리가 너무 비싼데 그보다는 저렴하고투자자는 은행이자 2% 시대인데, 수익을 더 낼수 있다 ■ 8퍼센트 가입할때 아래 링크로 가입하면 2000포인트를 받으니 참고하세요.http://8per.kr/s/5Y9BiH/8퍼센트 투자 1년전8퍼센트로 투자를 해본건, 작년 2월이다. 나는 이미 4년전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p2p 대출투자에서 실..
요즘 렌딧이나 8퍼센트 같은 p2p 대출이 많이 활성화 되었다. 해외에서 먼저 시작한건 알고 있지만, 국내에도 2013년도쯤에 모네타에서 크라우드펀딩이라는 p2p 대출이 서비스 중이었다는걸 아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을것같다. 나는 2013년쯤 소액으로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4년간 지켜보고, 작년엔 8퍼센트를 테스트 해보고 투자금을 늘릴지 말지 고민했던 경험담을 써보고자 한다. 초기 서비스였기 때문에 조금 타겟이나 안정장치가 약했는데 그래서 p2p 대출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게 해준거 같다.시작하게된 이유?나는 재테크에 관심이 많다. 그래서 예 주식, 회사채, 예금/적금 같은 금융상품들은 소액이라도 먼저 시작해 본다. 그때 최고 금리조회하러 갔던 모네타에 크라우드펀딩이라는 메뉴가 보였다. 이건 뭐지? 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