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yzen(라이젠)7 에서의 국민오버 ?!라이젠은 인텔과 달리 쿨하게, 오버클럭을 열어줬다. (인텔은 치사하게 K버전에서만 오버클럭 제공한다)R7이 나왔을때 1700의 오버클럭 수준이 3.7~3.8G가 국민오버로 수치로 자리잡히면서 갓성비라고 불렸다. 우선 1세대 라이젠의 상한 클럭은 4Ghz 수준이라는걸로 이야기 되고 있고, 심지어 자동오버클럭이라고 기대했던 XFR은 효과가 미비해서 해당 기능이 들어간 라이젠 1700X 은 계륵이라는 결론이났다. 라이젠7 1700을 사서 차액으로 쿨러를 좋은거 사서 오버하는게 딴 제품을 사는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라는 결론이라 R7의 답은 사실상 1700으로 결론났다. 2. Ryzen(라이젠)5의 오버클럭 수혜주도 1600이 될까?코어가 줄어 나온 "라이젠5는 아마도..
심플한 음악 플레이어 foobar 2000 윈앰프스타일의 간단한 음악플레어를 좋아하는데, 알송이나 다른 플레이어는 너무 복잡한거 같다. foobar라는 음악플레이어는 군더더기없는 깔끔함이 미학이랄까? 그리고 기본 재생음질도 매우 좋다. 사족으로 나는 인터넷 라디오를 듣기위해 이 프로그램을 쓴다. (몇년전 처음 발견해서 쓰고 거의 기본프로그램처럼사용)당연히 mp3재생은 기본이고, 플레이어 리스트 구성도 가능하다. 광고도 없다. http://www.foobar2000.org 를 가면 무료로 다운을 받을수 있는데, 기본 버전의 함정은 한글제목이 깨진다.foo_https_sjis_pathch2.dll 라는 일본어 깨짐 관련 컴포넌트파일을 넣으면 해결된다.귀찮아서 기냥 포터블버전 + 한글깨짐 컴포넌트 합쳐서 올려..
나는 출퇴근 거리가 꽤 멀다. 분당에서 서울까지 출퇴근으로 하루에 3시간은 버스에서 보내는것 같다. 나에게 지루함을 덜어주는 버스안의 유일한 도구는 스마트폰이다. (버스는 움직임이 크고, 조명은 수명이 얼마 안남았는지 깜빡이는 경우가 많아 책읽기엔 안좋음) 작년까지는 인터넷이랑 묶어서 유플러스를 썼다. (하단 청구내역은 유플러스) 전화는 쓸일이 없어서 선택요금제로 통화시간이나 문자는 최소로 하고, 인터넷도 최소로 해서 안심옵션을 걸어서 썼다. 여기서 약정+인터넷 결합할인 1만원을 받아서 2.4만원 수준으로 요금을 냈는데, 이게 유플러스의 안심옵션의 인터넷속도라는게 암을 유발할거 같은 속도였다. (특히 눈비오고 금요일이라 버스가 막힐땐 울화통이 치밀어 올랐다) 그러던 어느날, CJ 헬로모바일에서 무제한 요..
약 7년 된 컴퓨터 부품 어쩌지 ?2010년 8월에 샀었던 컴퓨터를 메모리 추가하고, 디아3 할때 로딩의 압박으로 SSD로 바꾸고, 오버워치한다고 그래픽 카드를 바꾸며 정말 오래 사골처럼 우려 먹다가 최근 라이젠으로 컴퓨터 업글하고 이제 이들을 놓아줄때가 되었다 ㅋㅋ 그런데 애매한게, 평화로운 중고나라에 팔기는 너무 오래된 스펙이라 팔기도 애매한 상황. 우연히 메인보드 박스 뒤져보니 그 당시 주문내역서까지 고스란히 보관중이라 추억은 새록새록났다. 팔아야 할건 메모리 2gb 두 개 (쓰다가 메모리 추가해서 두개임), CPU, 보드, 그래픽카드 였다. (그 당시 가격으로 치면 41만원) 나는 중고거래 땜에 박스를 잘 안버리고 보관하는편이라 그래픽카드는 중고나라에 올려봤는데 무플 ㅠ결국 매입업체에 모조리 팔기..
스타1 이 무료로 풀렸다. 옛날에 친구들과 토스트 길드라는 길드도 운영했고, 우스갯 소리로 말하던게 윈도우 재설치후 가장 먼저 설치하는 필수 프로그램이라고 농담을 했었는데, 스타 리마스터가 출시되기전 스타1을 블리자드에서 무료로 풀었다. (그땐 맥을 안써서 무관심이었지만 맥이랑 윈도우 둘다 되다니) 당연한 이야기 지만 블리자드에서 무료로 풀어서 시디키도 필요없고, 배틀넷도 된다. 우왕 !아!! 브르드워도 포함되어있다 ㅋㅋ 설치 / 런처 다운로드다운로드 런처를 받아 실행하면 먼저 언어를 고르고(한글은 없다) 기냥 다음만 누르면 된다. 다운로드 런처는 배틀넷 홈피에서 찾기가 어려워서 업로드했으니 OS 에 맞게 다운받아 설치하자 ㅋ ※ 참고 : 2017/8/13 1.18버전은 이제 배틀넷이 안된다. 1.19 ..
이번에 라이젠으로 업그레이드하며, 좀 삽질을 많이했다. 관련된 해결방법을 가이드하고자 한다. 다른사람은 나처럼 삽질하지 않기를 바라며 몇가지 참고사항들을 정리했다. 모두 삽질하지 말자 ㅠㅠ 우선 보드가 먹통이었던건, aswin에 가서 바이오즈업데이트(2.20)를 하고 해결되었다. 그 이후 인터넷 안됨도 해결함 하아~ 이 장면 하나를 보기위해 엄청 삽질하며 세팅 ㅠ 드디어 오버워치까지 깔았는데 밤이다. 흑흑 오버클러킹과 성능테스트 후기는 좀더 후에 작성될듯 하다. 1. 부품 업그레이드전 해야할 일 (윈도우 일반화)메인 보드가 바뀌면 윈도우에서 인식을 못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관련된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싹 다 달라지기 때문에 뭔가 충돌이 난다. 나는 windows 10 에서는 안그러겠지? 하는 막연한 ..
금요일에 주문했던 라이젠5 1600 과 adrock AB350 PRO4 보드랑 메모리가 배송완료 되었다. 사실 이거 조립하려고 퇴근도 일찍해서 너무 부푼 하루였었다. 후훗 이제 7년전의 프루프스는 안녕! 박스가 되게 크다. 다른 CPU패키지보다 뭔가 뻥빡스(?) 처럼 커보인다 ㅋㅋ 하지만 뭔가 블랙간지. 안에 보면 라이젠5 스티커와 쿨러가 같이 들어있다. 뜯어보니 쿨러 크기 때문에 박스가 컸던걸 알수 있음. 어서 옛날 컴퓨터를 분해하고 새 부품으로 조립시작 !!! CPU는 핀방식인데, AM3 시절 CPU랑 장작하는 느낌은 동일하다. 그리고, 메인보드 CPU옆에 가이드 같은 플라스틱이 있는데, 저건 쿨러가 걸쇠(?)형태로 장착할때 필요한것이고, 정품쿨러는 나사로 조이는 방식이라 저 가이드는 나사를 풀어야 ..
1부에서는 PER와 PBR에 대한 설명을 했다면, 2부에서는 왜 PER와 PBR을 보고 투자했는데 왜 수익이 잘 안나지? 뭔가 실제 시장에서 잘 풀리는 이유가 무엇인가? 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 혹시 1부를 안봤다면 http://tost82.tistory.com/34 를 참고하자. PBR 종목의 함정 PBR은 부동산, 상표권 같은 순자산에 대한것이다. 이말은 팔아먹을(?) 것은 많은데, 이것이 미래가치를 알려주지는 않는다.현재 국내 대표 포털업체인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를 PBR로 본다면, 다음카카오는 PBR이 1.75 네이버는 PBR 6.31배이다. 즉, 다카오가 순자산대비 주가는 훨씬 싸다. 즉 저평가 되었다. 그런데 최근 1년간의 주가를 보면 네이버는 40% 이상 상승했고, 다카오는 오히려 하락하고..